[vsphere] vCenter 설치
vCenter ?
다수의 ESXi 및 가상 시스템을 중앙 집중 관리하며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ESXi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 사전 준비
· DC - AD 설치 및 DNS 서버 구성
· vCenter 설치를 위한 iso 파일 준비
vCenter 설치
1. S20-DC의 CD/DVD drive의 파일 변경

vCenter iso 선택

2. S20-DC 실행 후 내 PC 확인

마운트 된 vcsa cd room 확인 가능
3. GUI 환경으로 설치 진행 - installer 선택

4. install 시작

- Install : vCenter 설치
- Upgrade : 새로운 버전으로 설치
- Migrate : 존재하는 vCenter로 전환
- Restore : 백업 받은 파일 복구
5. Stage1 진행

Stage1 설치 후 Stage2로 진행
6. 라이센스 동의 진행

7. vCenter target 설정

⑴ ESXi의 서버에 설치하는 경우(중첩 x)
- ESXi host or vCenter Server name : ESXi host의 IP 주소 입력
- User name : root(ESXi 계정)
- Password : ESXi의 비밀번호 입력
⑵ vCenter이 현재 존재하고, 그 위에 존재하는 ESXi 관리를 위해 설치하는 경우
- ESXi host or vCenter Server name : vCenter의 ip 주소 or FQDN
- User name : vCenter에 접근 가능한 계정@vclass.kh(vclass의 dns 접미사)
+) 외부의 DC의 DNS 서버와 AD로 연동이 안 되어 있다면 vsphere.local로 vCenter 자체 dns 접미사 사용
- Password : vCenter 계정의 비밀번호

YES
8. 설치한 vCenter을 위치하게 할 폴더 지정

9. vCenter이 사용할 자원을 가지고 있는 서버 선택

10.vCenter 가상머신의 이름 설정

11. vCenter 사이즈 설정

설치해야 할 요소를 고려하여 size를 선택(기본적으로 여유 있게 설정하며 나중에 증가가 가능)
12.vCenter의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소 선택

13. vCenter 기본사항 설정


DC에 설정한 vCenter FQDN
- FQDN : DC에 미리 설정한 주소 사용
- DNS Server : DC의 DNS Server 사용
※ http, https는 초기만 설정 변경 가능하므로 주의 필요
14. vCenter 설정 사항 확인 가능

15. Stage1 설치 완료

만약 오류 발생 시 초록색 느낌표가 빨간색으로 전환됨(해결 후 continue 필요)
16. Stage2로 진행 시작

17. 시간 동기화 진행

ESXi의 시간 동기화 서버인 kr.pool.ntp.org와 같게 설정(같지 않을 시 오류 발생)
+) vCenter HA를 지원하기 위해 SSH enable 설정
18. SSO domain 설정

- Create a new SSO domain : 새로운 vCenter을 제작 시 사용(기존의 vCenter가 존재하더라도 사용 가능 - 이후 설정)
- Join an existing SSO domain : 기존의 vCenter 존재 시 사용
vsphere.local이
+) SSO : 한 번 로그인하면 그것으로 다른 곳에서도 로그인 가능
19. 오류사항 vmware로 전송(온라인)

20. 설정 사항 확인


ok 선택
21. 설치 완료

부록
vSphere 설명서 : https://docs.vmware.com/kr/VMware-vSphere/index.html
ESXi 포트 확인 방법 : https://ports.esp.vmware.com/home/vSp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