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phere] Distributed Switch(분산 스위치)
분산 스위치?
분산 스위치는 관리부와 데이터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vCenter을 관리하는 분산 스위치 부분을 관리부 실제 데이터가 이동하는 부분을 데이터부라고 한다. 관리부에서는 분산 포트 그룹을 만들어 ESXi 호스트에 연결하여 가상머신을 용도에 따라 업링크 지정 및 통합적 관리를 한 후 데이터부에서는 ESXi host의 실제 패킷을 해당 업링크로 통신 가능하게 해준다.
- 분산스위치 구성요소
· VM 포트
가상머신의 인터페이스 vNIC와 연결된 ESXi 포트
· VM 포트 그룹
ESXi 포트를 특정한 목적에 따라 논리적으로 묶어 같은 포트 그룹이나 다른 포트 그룹의 VM과 통신할 수 있는 그룹
· 업링크 포트 (그룹)
물리적 스위치와 VM 간 통신을 하려고 할 때, Uplink 포트를 통해 vmnic가 물리적 스위치와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 VM 커널 포트
ESXi 호스트는 vmknic와 연결된 VMkernel 포트를 통해 통신하게 되는데 ESXi로의 트래픽을 관리한다. vmknic를 사용하면 맥주소 형식이 아닌 ip주소 형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된다.
+) 표준 스위치 명응 변경 시 서버의 구성이 달라지지만 분산 스위치의 경우에는 스위치명이 변경되어도 서버의 구성 변화 없이 유지된다.(= 오타와 같은 오류 대응에 용이하다)
포트 그룹 VS VLAN
· 포트 그룹 : 여러 ESXi 내부의 가상머신에서 가상머신으로 이동을 위해
· VLAN : 같은 VLAN 네트워크 간 패킷 이동
+) Trunk는 모든 VLAN 패킷 이동
분산 스위치 생성
1. 새로운 분산 스위치 선택

+) 서로 다른 클러스터여도 분산 스위치로 포함 가능
2. 분산 스위치 이름 설정

3. 분산 스위치 버전 선택

4. 분산 스위치 설정
Number of uplink 각각의 host 별로 사용할 uplink(이중화에 사용)

5. 설정 내용 미리 확인

6. 분산 스위치 생성 완료

+) LACP : 여러 개의 링크를 묶어서 사용
+) Private VLAN: 분산 스위치 내 VLAN 설정이 가능하지만 단, 태깅이 되기 때문에 스위치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만 사용 가능
7. 포트 그룹 추가
- New Distributed Port Group 선택

- 이름 설정

- 포트 그룹 설정

+) 상위의 vCenter의 같은 번호의 VLAN 연결로 해당 네트워크만 통신

8. 분산 스위치와 연결할 호스트 추가


- 분산 스위치를 연결할 host 선택

- 분산 스위치의 uplink 설정



vmnic2,3 각각 uplink2,3으로 설정
ESXi Host의 vmnic 중 분산 스위치의 uplink로 사용할 vmnic 설정(아래의 vmnic를 의미)
+) Apply ~ : 선택된 모든 ESXi 서버의 같은 vmnic2에 업링크 설정

ESXi Host의 Network 설정
Network adapter3,4를 S20-Trunk로 설정, VCSA의 Network adapter도 S20-Trunk로 설정
- vmkernel 설정
vmk는 관리용 인터페이스로 IP 주소를 할당하여 관리

+) vmk0를 특정 그룹에 할당할 필요 x =>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다른 용도로 관리하기 위해서
- 설정 확인

9. 포트 그룹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vmk) 생성

- vmk를 생성할 Host 선택


- 각 Host의 vmk IP 주소 설정


- 생성 완료

10. ESXi 서버의 uplink 연결(ESXi 01,02,03)

+) 여러 대의 VLAN ID(102,103)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Trunk로 연결
- 연결 확인(vmkping) : ESXi 서버
커널 인터페이스를 지정하여 같은 네트워크의 주소에 ping

+) 그냥 ping 입력 시 vmk0으로 표준 스위치를 이용하여 통신할 가능성이 높음